2025년 3월, 즈위프트가 대대적으로 업데이트되면서 프레임 (자전거) 업그레이드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최근 업데이트로 인해 그동안 즈위프트 컨셉 Z1 (트론 바이크)나 휠셋 조합에 따라 가장 빠르다는 피나렐로 도그마 F 2024 등을 넘어서는 새로운 프레임 에스웍스 타막 SL8이 등장하고, 각 프레임에 개별적인 업그레이드가 가능해지는 등 뭔가 어수선해진 상황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Zwift Insider의 테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어떤 프레임을 선택해서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일지 간단하게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즈위프트 패치 이후 일반 로드 바이크 프레임 중에서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모델로 등장한 에스웍스 타막 SL8입니다.
우측을 보면 총 5단계 (스테이지)로 구성된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프레임의 업그레이드를 위해서는 해당 프레임을 사용해서 주행하거나 시간을 채우거나 고도를 획득하는 등 스테이지별로 조건이 필요하며, 또한 이 조건을 채워도 드랍 (땀방울)을 사용해야 업그레이드를 완료할 수 있습니다.
업그레이드 유형은 에어로 성능 향상 (공기저항 감소), 클라이밍 성능 향상 (무게 감소), 파워 효율 향상 (구름 저항 감소), 드랍 획득 효율 증가 (5%), 경험치 획득 효율 증가 (5%)의 5 종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과거에도 그리고 지금도 최상급의 성능을 제공하는 즈위프트 컨셉 Z1 (에베레스트 챌린지 보상)입니다.
특이하게 즈위프트 컨셉 Z1은 바로 업그레이드가 불가능하며, 우선 즈위프트 브랜드의 다른 프레임 3종을 5단계까지 업그레이드한 다음에서야 컨셉 Z1의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습니다.
모든 프레임은 5단계의 업그레이드를 제공하지만 그 성능이나 특성에 차이가 있으며 비용에도 차이가 있는데요. 보통 저렴한 프레임의 경우 업그레이드 난이도가 낮지만 성능도 낮고, 고가의 고성능 프레임은 업그레이드 난이도도 높고 성능도 우수하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에스웍스 타막 SL8과 같은 최상급 프레임의 경우 5단계까지 모두 업그레이드하려면 1,600km의 주행 거리와 함께 약 200만 드랍이 필요합니다.
패치 이후 즈위프트 프레임 성능 변화
앞서 새로 추가된 즈위프트 프레임 업그레이드 기능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봤으니, 다음으로 패치 이후 변경된 프레임 성능과 5단계 업그레이드를 모두 끝낸 프레임의 성능을 비교해보겠습니다.
성능을 비교할 프레임은 고민 없이 선택할 수 있는 고성능 프레임 즈위프트 컨셉 Z1과 새롭게 등장한 고성능 4대장 에스웍스 타막 SL8, 피나렐로 도그마 F 2024, 캐니언 에어로드 2024, 캐논데일 수퍼식스 이보 랩 71 그리고 평지에서 최고였던 에스웍스 벤지 2019, 업힐에서 최고였던 에스웍스 에이토스입니다.
즈위프트에 등장하는 모든 프레임의 성능을 비교하면 가장 좋겠지만, 어차피 우리가 선택할 것은 가장 빠르고 가장 높이 오를 수 있는 고효율 프레임이기 때문에, 시간 관계상 위와 같이 6가지 모델로 비교 대상을 추렸습니다.
먼저 거의 완전한 평지인 Tempus Fugit 맵에서 성능 비교입니다.
라이더가 1시간 동안 300W (4W/kg)으로 달릴 경우, 즈위프트 컨셉 Z1은 즈위프트 카본 프레임 + 32mm 즈위프트 카본 휠셋에 비해 114.2초 더 빠릅니다. 이번 패치를 통해 컨셉 Z1은 모든 로드 프레임 중에서 평지에서 가장 빠른 프레임이 되었습니다.
기존에는 에스웍스 벤치와 같은 최고 성능의 에어로 프레임에 DT 스위스 ARC 1100 디스크 휠셋을 사용하는 것이 더 빨랐지만, 이번 패치를 통해 이 공식이 뒤집어지게 된 것이죠.
컨셉 Z1와 어느 정도 차이를 두고 서로 자리를 바꾼 벤지가 위치하며, 그 뒤에는 새로운 4대장인 에스웍스 타막 SL8, 캐니언 에어로드 2024, 피나렐로 도그마 F 2024, 캐논데일 수퍼식스 이보 랩71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주의해야 할 것은 프레임으로 인한 성능 차이보다 업그레이드로 인한 성능 차이가 더 크다는 것입니다. 같은 특성과 등급의 프레임이라면 성능 차이는 고만고만 하지만 풀업을 하면 성능 향상이 많이 되기 때문에, 우선 마음에 드는 최상급 프레임 하나를 정해 업그레이드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으로 가장 긴 오르막 코스 중 하나인 Road to Sky 맵에서의 프레임 성능 비교입니다.
평지에서 가장 강력했던 즈위프트 컨셉 Z1은 힘을 쓰지 못하고 있으며, 5단계 업그레이드를 마친 풀업 에이토스의 성능이 인상적이네요. 업그레이드하지 않은 순정 상태에서는 에스웍스 타막 SL8이 업힐 머신인 에이토스를 능가하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5단계 업그레이드가 끝난 이후에는 반전되는 결과가 나타납니다.
마지막으로 평지와 오르막에서 각각 줄일 수 있는 시간을 합산한 결과입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에스웍스 타막 SL8이 가장 효율적인 프레임이라고 볼 수 있지만, 대부분의 코스는 평지 또는 약업힐이 곁들어진 정도가 많기 때문에 실제로는 컨셉 Z1이 유리한 코스가 많습니다.
타데이 포가차가 평지 위주의 코스에서는 Y1Rs, 업힐이 있는 코스에서는 V4Rs를 타는데, 이와 마찬가지로 즈위프트에서도 평지 위주라면 컨셉 Z1, 업힐이 꽤 끼어있다면 에스웍스 타막 SL8을 선택하는 것이 효율적이겠죠.
또한, 업그레이드를 마치기 위해서는 상당힌 시간이 필요하며, 일반 프레임에 비해 즈위프트 컨셉 Z1은 업그레이드가 조금 더 까다롭습니다. 어떤 프레임을 선택해서 업그레이드할지 신중하게 생각해 본 다음 진행하는 것이 좋겠습니다.